*투자권유 X, 투자책임은 각자가
체리형부님 정량적 분석 조건으로 쓴 기업분석입니다. 제가 샀을 수도 안샀을 수도 있습니다.
1. 기본정보
기업명: 씨앤투스성진
시가총액: 2,124억 (6/23 종가기준)
주요주주지분: 38.40%, 최대주주: 하춘욱
http://www.cntus-sungjin.com/
52주최고/최저/현재가 (34,650/19,300/21,250)
씨앤투스성진은 2003년 평산이란 이름으로 설립되었으며 2006년 씨앤투스, 2015년 씨앤투스성진으로 상호를 바꾸고
21년 1월 코스닥 신규상장
현재 씨앤투스성진은 마스크, 필터제조업 및 건강기능식품 제조, 판매업 등 여러 사업을 영위
2. 기업선정이유
현재 백신 접종률이 30%(1회 접종)에 가까이 다가서며 코로나 회복 기대감으로 주가 모멘텀이 크게 떨어짐.
21년 4월 식약처에서 아에르 마스크 일부 제품을 3개월 제조정지명령을 내림. (품질 문제 아닌 단순 서류 불찰)
또 마스크 모델인 배우 서예지도 구설수에 오르며 악재를 더함.
21년 예상영업이익도 -41.1%로 크게 떨어질 것으로 전망됨
그럼에도 투자해야하는 이유:
1) 온갖 악재로 주가의 바닥을 확인했다는 점 (현재 PER: 4.54, PBR: 2.27, PERe: 4.1)
2) COVID 변이로 다시 모멘텀이 살아나고 있는 점 (빨리 코로나가 없어졌으면 좋겠지만 예상보다 조금 더 걸릴 듯하다..)
3) 탄탄한 재무를 바탕으로 신동력산업 필터 사업 성장이 돋보인다는 점
CNTUS-SUNGJIN
www.cntus-sungjin.com
3. 기업상세분석
<EPS 추이>
21년 컨센서스 EPS는 4,956원이며 이는 20년 4,229원보다 17% 증가한 수치다. 22년은 yoy로 2.6% 증가 전망이지만 아직 먼미래라 예단하기는 어렵다.
특히 아직 마스크에 비해 매출기여도는 미비하지만 필터의 성장이 매우 돋보인다.
판관비는 매출액 증가률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는 데,
광고에 15억을 태웠기 때문이다. 아마 서예지마스크로 다른 마스크 제품과 차별화를 두려고 했던거 같은데 결과는.....
유독 광고를 할 때마다 모델들이 문제가 생기는 업체들이 있다. 앞으로 어떻게 브랜딩을 할 것인지는 유심히 관찰해야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광고모델을 빼고 아에르 마스크로 브랜딩 시도하는 듯...
필터의 경우 B2B 비즈니스이기 때문에 광고를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마스크 비중이 줄어들 수록 판관비의 광고선전비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마스크 매출이 240억과 광고선전비 15억은 차이가 많아 어느때보다도 필터의 성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추가내용: 주변 사람들에게 아에르 마스크에 대해 물어보았다. 스타일이나 퀄리티에 신경을 쓰는 사람들 중에는 아에르를 아는 사람들이 많았다. 브랜딩 효과가 있는듯. 하지만 남성들 특히 중장년에겐 마스크는 마스크. (사실 저도 암거나 있는거 씁니다...)
<재무 안전성>
부채비율이 작년 67%에서 올해 1분기 22%로 대폭 개선 (유동부채/유동자산*100)
이자 발생부채도 작년 1분기 1.7억에서 올해 1분기 1천으로 대폭 감소하였으며 17년을 제외하고 16년부터 꾸준히 현금 유입이 발생되었다.
매출도 꾸준히 증가하며 마진율도 매우 좋다.
추가로 S-RIM 방식을 사용하여 적정주가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S-RIM에 대해 간단히 설명을 하면 기업의 적정가격을 산출하는 방법 중 하나로, 절대평가지표이다. PER경우 같은 사업군의 PER평균과 비교하게 되는데 이는 상대평가지표로 해당 섹터가 overvalue를 받게 된다면 높은 PER이 정당화되어 버려 다같이 거품이 생겨버리는 문제가 있다.
S-RIM은 다른 기업과 비교가 아닌 이 회사 자체만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현재 벌어들이는 돈과 초과이익(ROE)으로 적정가치를 구한다. (사경인 회계사님 책 참조) 예상 ROE는 유진투자증권 박종선 애널리스트님의 리포트를 참조했으며 3년 가중평균의 ROE 21%가 매년 10%씩 감소하였을 때 10년의 기간 벌어들인 이익을 합산하여 평가하였다.
<모멘텀 증가세>
작년 확실히 코로나로 인해 마스크 수요가 급증하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이 크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OCF)
올해는 작년대비 OCF, CAPEX가 크게 줄어들었지만 작년은 특수한 상황이며 작년을 제외하고 올해 제일 많은 CAPEX 투자가 진행되었다.
공기청정기 및 진공청소기 필터 공장 증설이 올해 2분기에 완료가 된만큼 하반기 매출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재고자산의 경우도 작년과 비슷한 수량으로 유지가 되었지만 회전율이 급격하게 낮아졌다. 조금 헷갈리는 것은 제품의 생산주기는 길어졌지만 총재고자산대비 현재재고는 줄고 있다.
생산 가동율도 모두 증가세 (21년도는 1분기라 생산능력, 생산실적은 대충 x4를 해서 생각해야 될 듯하다.
회사 인원은 올해 1월 기점으로 대폭 감소하였는 데, (90명이 퇴사) 퇴사자 분들은 마스크 관련 계약직이 아닐까 싶다. 이 퇴사러쉬로 180명으로 대폭 준 뒤, 200명정도로 유지하고 있다.
또한 반기배당금 올해부터 실시하여 1주당 500원 현 시가시준 2%의 배당을 주는 점, 수처리 필터 및 에어솔루션 사업 등으로 진철하는 점도 모멘텀 상승에 기여할 듯 하다.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50480386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봇 관련주, 로봇 테마주 아이디어 및 총정리 (0) | 2021.07.12 |
---|---|
중소형주 기업분석: 에스앤에스텍 (0) | 2021.06.27 |
중소형주 모멘텀 투자 1 - 뉴프렉스 (0) | 2021.06.04 |